연구책임자 : 

 현영섭(경북대학교)

공동연구자 : 

 김준희(고려대학교)

 박지원(한국기술과학대학교)

전임연구원 : 

 최유연(고려대학교)

연구보조원 : 

 남준현(고려대학교)


 오린지(고려대학교)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기회나 서비스에서 배제되기 쉬운 교육취약계층을 위한 인적자원개발 정책의 기틀 마련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교 밖 청소년, 다문화청소년과 신중년들을 대상으로 교육 및 정책 지원에 관한 요구를 조사하고 이를 분석한 후, 교육취약계층을 위한 인적자원개발 정책 과제를 제언하였다.

2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교육취약계층에 대한 정의나 이론적 모델이 별도로 존재하지는 않으므로 취약계층에 대한 다양한 정의와 1차 년도 취약계층 기초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육취약계층을 정의하고 교육취약 해소를 위한 인적자원개발 모형을 고찰하여 정책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문헌 고찰을 통해 성인, 청소년 및 다문화 취약계층 관련 이슈를 종합하여 교육취약계층 인적자원개발 정책을 위한 이론적 기반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3장 연구 방법에서는 교육취약계층 관련 교육 운영 및 정책 지원에 관한 실질적인 요구를 조사하기 위해 국내외 사례 조사 및 교육대상자와 각 기관별 담당자 대상의 면담을 실시하고 자료를 질적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국내는 교육취약계층의 교육 현황과 지원 필요사항 등 실질적인 교육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학교 밖 청소년(꿈드림), 다문화청소년(레인보우스쿨), 신중년(평생학습원) 교육을 담당하는 기관 사례를 조사하고 교육담당자와 교육생 총 30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국외 사례는 저소득층 청소년, 성인 대상의 예술과 연계된 직업교육을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실시하는 미국 맨체스터비드웰코퍼레이션(MBC) 사례, 다문화 관련 다양성 교육을 활발하게 전개하는 캐나다 해밀턴센터씨빅인클루전(HCCI) 사례를 조사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국내외 우수사례 조사 및 면담 결과를 토대로 교육취약계층 인적자원개발 정책 요구를 조사하기 위한 예비 설문문항을 개발하였다.


4장 연구 결과에서는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설문문항의 타당도를 검토한 후, 교육취약계층의 정책 요구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요구분석법을 활용하여 우선순위 요구를 선정하였다. 교육취약계층의 정책 지원 및 교육 요구에 관한 조사는 교육담당자를 대상으로 요구의 중요도와 시급도를 기준으로 조사하였다(학교 밖 청소년 5개 영역/29개 문항, 다문화청소년 6개 영역/38개 문항, 신중년 6개 영역/28개 문항). 응답기준은 7점 척도이고 총 220명이 응답했다. 조사 결과는 대표적 요구분석법인 Borich 요구도(Borich, 1980)와 허쉬코비츠 임계함수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교육취약계층 인적자원개발 정책 요구의 최우선순위를 선정하였다.

5장 결론 및 제언에서는 선정된 최우선순위 요구를 기준으로 학교 밖 청소년 12, 다문화청소년 11, 신중년 12개의 총 35개의 정책 과제를 도출하였다. 전문가 협의를 통해 도출된 정책 과제를 범주화하여 영역을 재분류화하고 교육취약계층 인적자원개발 정책의 방향과 구체적인 과제를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외 문헌 고찰, 우수사례 조사, 면담과 설문 조사 등 실증 연구를 실시하고 전문가 협의를 통해 교육취약계층 인적자원개발 정책 과제를 제언함으로써 현장의 교육 요구가 반영된 정책 과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취약계층을 위한 교육 정책 방향과 과제 수립 및 맞춤형 교육지원과 운영 등 취약계층 인적자원개발 정책의 기틀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