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책임자  :

 조대연(고려대학교)

공동연구원  : 

 김대영(제주대학교)

 정홍인(대구대학교)

전임연구원  : 

 김은비(고려대학교)

연구보조원  : 

 최지수(고려대학교)

 박선민(고려대학교)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도래에 따라 미래사회 인재상에 대한 중장기적 국가적 대응방안을 수립하기 위하여 4차 산업혁명의 발전을 주도할 미래사회 인재상 정의 및 인재양성 정책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미래사회 인재상을 도출하기 위하여 문헌조사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행된 연구를 바탕으로 제시된 인재상은 AI나 빅데이터 등과 관련된 과학적 지식과 창의력을 바탕으로 변화를 주도하면서, 예측 불가능한 상황에서 문제해결능력을 갖추고, 다른 인재와 협업할 수 있는 높은 사회적 지능을 보유한 존재이다.

또한 델파이 조사에 참여한 전문가 패널은 학계 교육계 정책계 등 현장 경험자 20인으로 구성되었으며 델파이 조사는 교육주체, 교수학습, 학교체제 등 3개의 영역으로 분류하여 18개의 정책으로 구성되었으며 예비연구에서 도출된 정책들을 중요도와 실행가능도에 따라 Likert 5점 척도로 제시하여 응답하도록 하였다. 또한 COVID-19 이후의 인재상과 교육방향에 대해서도 자유롭게 기술할 수 있도록 하였다.

허쉬코비치 임계함수 분석에 따르면 교육주체에서는 1. 미래사회 필요역량 함양을 위한 교원의 자기계발, 2. 미래형 학습공동체 활성화를 위하 학습공동체 리더 육성, 4. 교수학습센터, 교원연수 등의 체계적 지원이 교수학습 파트에서는 11. 팀 티칭과 협동학습의 활성화, 12.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이 선택되었다. 마지막으로 학교체제에서는 16. 미래 핵심 역량 중심의 교육을 위한 재정지원 및 시설 확대가 선택되었다. 다음으로 실행가능도 가중치 부여 시, 교육주체 파트에서는 3. 미래형 교원역량 진단시스템 개발, 4. 교수학습센터, 교원연수 등의 체계적 지원, 5. 에듀테크를 활용한 연수기법 운영이 선택되었고, 교수학습에서는 10. ICT(VR, IoT, 3D프린트) 활용한 다양한 교수-학습자료 개발, 11. 팀 티칭과 협동학습의 활성화가 포함되었다. 마지막으로 학교체제에서는 15. 지역단위 교육네트워크의 활성화가 제시되었다. 끝으로 중요도에 가중치를 부여해서 분석한 결과 교육주체의 4. 교수학습센터, 교원연수 등의 체계적 지원과 교수학습에서 11. 팀 티칭과 협동학습의 활성화가 포함되었다.

이와 같이 수행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시된 미래의 인재상과 교육정책을 바탕으로 네 가지 제언을 본 연구는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미래의 인재는 과학적 지식과 창의력을 바탕으로 변화를 주도하면서, 예측 불가능한 상황에서 문제해결능력을 갖추고, 사회적 지능을 보유한 존재이다. 이러한 인재상을 잘 길러내기 위한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다음 두 가지 정책이 중요할 것이다. 첫째 교원연수 등의 체계적 지원이다. 이는 교원양성 교육과정을 개선하고 보완해서 보다 실제적인 인재를 육성할 수 있어야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팀 티칭과 협동학습의 활성화이다. 다른 인재와 협업할 수 있는 높은 사회적 지능을 가진 인재의 육성을 위해서는 협동작업의 활성화가 강조되어져야 할 것이다.